30호 생명자원 21 (2020년 10월 마지막주) 페이지 정보 작성자 equal 조회 56 회 작성일 20-10-31 11:57 댓글 0 본문 전임상/타겟발굴/생명자원 (인체유래자원 포함) 원광대: 포도(Vitis labrusca) 잎 추출물이 어떻게 심혈관 질환을 막는 지를 밝혀 Protective Effect of Vitis labrusca Leaves Extract on Cardiovascular Dysfunction through HMGB1-TLR4-NFκB Signaling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극지연구소: 남극에서 찾은 라이켄, Amandinea sp 메탄올 추출물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마크로파아지와 제브라피쉬 실험으로 확인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Antarctic lichen, Amandinea sp.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d zebrafish 동국대: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해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유충에 항-미생물 활성을 가진 펩타이드 생산 유도해 살모넬라의 성장을 억제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Extract of Hermetia illucens Larvae Immunized with Lactobacillus casei against Salmonella Species 뉴트리: 감초추출물이 어떻게 지방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지를 밝혀 Licorice extract suppresses adip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mitotic clonal expansion an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in 3T3-L1 cells 제주대: 김 추출물이 항-염증기능과 장내 미생물 조절 기능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Gut Microbiota Modulation of Porphyra tenera Extracts in 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Colitis in Mice 대구카톨릭대: 오약(Lindera aggregata) 말린 뿌리에서 추출한 Isolinderalactone 성분이 난소암 세포 사멸을 유도 Isolinderalactone Induces Cell Death via Mitochondrial Superoxide- and STAT3-Mediated Pathways in Human Ovarian Cancer Cells 농촌진흥청: 고추 플라보노이드 성분 의 항산화 그리고 항-염증 기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Flavonoids Composition of Pepper ( Capsicum annuum L.) 표준화된 황기와 작약 조합을 통해 근위축(muscle atrophy)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대장암 악액질 마우스 (C26-cachexia mice) 모델 실험으로 확인 A standardized herbal combin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and Paeonia japonica, protects against muscle atrophy in a C26 colon cancer cachexia mouse mode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구강병원균, Streptococcus mutans에서 분리한 D-glucan 을 마크로파아지에 처리했을 때 발현되는 염증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분석 결과 Gene expression analysis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in macrophages treated with α-(1 → 3, 1 → 6)-D-glucan extracted from Streptococcus mutans 고려대: 생강나무 잎 추출물이 바이러스, murine norovirus (MNV-1)를 억제 Antiviral Effects of Lindera obtusiloba Leaf Extract on Murine Norovirus-1 (MNV-1), a Human Norovirus Surrogate, and Potential Application to Model Foods 성균관대: 찐 생강 추출물이 항-위궤양 활성을 가지고 있어 Antiulcer Activity of Steamed Ginger Extract against Ethanol/HC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부산대: 감(Diospyros kaki) 잎 추출물이 PDGFR-Rac-JNK 경로를 통해 항-암 활성을 나타내 Anti-cancer potential of persimmon (Diospyros kaki) leaves via the PDGFR-Rac-JNK pathway 독성연구원: 갈조류, Turbinaria ornata 추출물이 어떻게 만성 장염을 완화시키는 지를 밝혀 Standardized Fraction of Turbinaria ornata Alleviate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hronic Colitis in C57BL/6 Mice via Upregulation of FOXP3 + Regulatory T Cells 부경대: 방사무늬돌김(pyropia yezoensis)으로 만든 은 나노입자의 특성 조사와 병원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 Biogenic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yropia yezoensis silver nanoparticles (P.y AgNPs)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전남대: 11개 식물로 구성된 배란착상방을 먹이면 마우스 자궁내막에서 IκB 활성화를 통해 배반포 착상이 잘 이루어지게 해 Administration of a herbal formulation enhanced blastocyst implantation via IκB activation in mouse endometrium 충남대: 황기 잔뿌리 배양에서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을 늘리면 주요 생리 활성 성분, Astragalosides의 생산을 늘리는데 도움 Yeast extract improved biosynthesis of astragalosides in hairy root cultures of Astragalus membranaceus Verbascoside 성분이 풍부한 미선 나무 잎 추출물이 어떻게 lipopolysaccharides (LPS)에 의한 조산을 막는 지를 밝혀 건양대: Verbascoside-Rich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f Extracts Prevent LPS-Induced Preterm Birth Through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from Macrophages and the Cell Death of Trophoblasts Induced by TNF-α 부산대: 용어리 속의 식물, Dracocephalum palmatum Stephan 잎 에틸 아세데이트 분획물이 인간 유래 전립선 암세포 자가 사멸 유도 Dracocephalum palmatum Stephan extract induces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via the caspase-8-mediated extrinsic pathway 부경대: 플로로타닌(Phlorotannins)이 외상이나 수술 후에 흔히 나타나는 후두 경화(vocal fold fibrosis)를 완화시켜 Phlorotannins ameliorate extracellular matrix production in human vocal fold fibroblasts and prevent vocal fold fibrosis via aerosol inhalation in a laser-induced fibrosis model 성균관대: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프로바이오틱스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paracasei)와 프리바이오틱스로 천년초(Opuntia humifusa)를 같이 사용해 염증성 장질환에 치료 효과 확인 Effect of a Synbiotic Containing Lactobacillus paracasei and Opuntia humifusa on a Murine Model of Irritable Bowel Syndrome 농촌진흥청: 간암 세포 실험에서 새우 껍질에서 추출한 키틴과 같은 다당류 성분으로 만든 나노입자, AgNPs (AgNPs) 항암 활성을 나타내 Shrimp shells extracted chitin in silver nanoparticle synthesis: Expanding its prophecy towards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강릉-원주대: 비단멍게 껍질에서 분리한 지질 (body wall fatty acids) 성분이 면역 개선과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body wall fatty acids extracted from Halocynthia aurantium on RAW264.7 cells 부산대: 고지방 식단으로 인한 인지나 기억력 손상에 막는데 팥 (Vigna angularis) 추출물로 효과를 평가한 결과 Effect of Vigna angularis on High-Fat Diet-Induced Memory and Cognitive Impairments 강원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 추출물의 주요 성분 Chlorogenic Acid 그리고 Rutin이 콜라겐 소실을 막아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 Topical Application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 Rich in Chlorogenic Acid and Rutin Reduces UVB-Induced Skin Damage via Attenuating Collagen Disruption in Mice 경상대: 천연 항산화제로 좋은 다래나무(Actinidia arguta) 새싹...물로 추출한 성분이 장내 유용 미생물 성장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지방 염증으로인한 인지 손상도 완화시켜 Actinidia arguta sprout as a natural antioxidant: Ameliorating effe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경희대: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과 새송이(Pleurotus eryngii) 추출물에서 얻은 유용 성분 검증 그리고 특정 성분(DKB-117)이 효소 (Pancreatic Lipase / α-Amylase) 활성화를 통해 통해 항비만 효과가 확인 Anti-Obesity Effect of DKB-117 through the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nd α- Amylase Activity 한의약진흥원, 결명자 '위염 예방 효과' 확인 성균관대: 연꽃 잎 물 추출물이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에 의한 근 수축을 완화시켜 Water Extract of Lotus Leaf Alleviates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via Regulating Protein Metabolism-Related Pathways in Mice 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1975 찔레꽃(나무 ?)., Rosa multiflora Thunb., 1784.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1868. 수선화.,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M. Roem., 1847 얼레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1854.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1830. (생약명: 귀전우) 두충., Eucommia ulmoides Oliv. 1890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1821 목록 이전글 31호 생명자원 21 (2020년 11월 2주) 다음글 29호 생명자원 21 (2020년 10월 3주)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