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 PHYS.org (Science X Network) |
 논문보기 | 비트 뿌리에서 Protease 저해제로 작용하는 펩타이드(Cystine Knot Peptides) 얻어 치료제로 활용 가능성 조사 Discovery of a Beetroot Protease Inhibitor to Identify and Classify Plant-Derived Cystine Knot Peptides |
 논문보기 | 환경변화에 유전자 발현 변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Plasmodium falciparum Increased circulation time of Plasmodium falciparum underlies persistent asymptomatic infection in the dry season |
 논문보기 | SARS-CoV-2 복제를 억제하는 Aprotinin Aprotinin Inhibits SARS-CoV-2 Replication |
 논문보기 | 리뷰: 혈당을 낮추는 약제(Glucose-Lowering Drugs)가 코로나 19에 감염된 당뇨환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https://rapidreviewscovid19.mitpress.mit.edu/pub/u49dltkm/release/1 |
 논문보기 | 장내에 특정 세균 그룹(Lachnospiraceae / Enterococcaceae)이 많이 있을 경우 방사선 노출(radiation exposure)로 인한 장 손상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 Multi-omics analyses of radiation survivors identify radioprotective microbes and metabolites |
 논문보기 | CAR-T 처럼 T 세포를 배양해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 배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 개발 IL6 Fuels Durable Memory for Th17 Cell–Mediated Responses to Tumors |
 논문보기 | Tracking Changes in SARS-CoV-2 Spike: Evidence that D614G Increases Infectivity of the COVID-19 Virus 코로나-19>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적혈구를 타겟으로 작용할 수도 있어 ERYTHROCYTES AS A TARGET OF SARS COV-2 IN PATHOGENESIS OF COVID-19 |
 저널 홈페이지 |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의 생산을 늘리는 넌코딩 RNA, SINEUPs의 작용 매커니즘 밝혀 |
 논문보기 | 암 환자 8명 중에 1명은 선천적으로 암과 관련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어 Comparison of Universal Genetic Testing vs Guideline-Directed Targeted Testing for Patients With Hereditary Cancer Syndrome |
 논문보기 | 임신중 엄마의 비타민 D 양이 태어날 아이의 IQ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어 Maternal Plasma 25-Hydroxyvitamin D during Gest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urocognitive Development in Offspring at Age 4–6 Years |
 논문보기 | 온도나 습도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Global to USA County Scale Analysis of Weather, Urban Density, Mobility, Homestay, and Mask Use on COVID-19 |
 논문보기 | 동물모델 실험에서 SARS-CoV-2 를 잡을 수 있는 항체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개발 Rapid identification of a human antibody with high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efficacy in three animal models of SARS-CoV-2 infection |
 논문보기 | 60개 대규모 코로나-19 전파 사건을 분석한 결과 1명이 6명을 감염시킬 정도로 전파력이 강해 Evidence that coronavirus superspreading is fat-tailed |
 논문보기 | 시골에서 자란 어린이가 도심에서 자란 어린이보다 천식 발생이 낮은데 그 이유의 하나로 장내 미생물 균총에서 찾았는데 출생후 12개월 이내에 장내에 부틸산(butyrate)을 생산하는 균이 많으면 천식을 줄 일 수 있어 Maturation of the gut microbiome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contributes to the protective farm effect on childhood asthma |
 논문보기 | 혈전의 새로운 원인 밝혀...입원한 코로나-19 환자의 혈액속에 혈전을 만드는 자가항체 (Prothrombotic autoantibodies) Prothrombotic autoantibodies in serum from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VID-19 |
 논문보기 | 미생물의 진화 그리고 이 진화가 기주(host)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주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 Experimental evolution makes microbes more cooperative with their local host genotype |
 논문보기 | 코로나-19로 술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것이 공중 보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해야 Alcohol and COVID-19: How Do We Respond to This Growing Public Health Crisis? |
 논문보기 | 병원균, Clostridioides difficile가 저산소 환경인 장에서 어떻게 생존이 가능하게 만들었는 지를 밝혀 How the Anaerobic Enteropathogen Clostridioides difficile Tolerates Low O2 Tensions |
 논문보기 | 피 한방울로 간단하게 말라리아를 신속 진단하는 방법 개발 Microneedle-based skin patch for blood-free rapid diagnostic testing |
 논문보기 | 개미는 그들이 만드는 개미산을 먹어 병원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Formicine ants swallow their highly acidic poison for gut microbial selection and control |
 논문보기 | Phased diploid genome assemblies and pan-genomes provide insights into the genetic history of apple domestication 사람이 야생의 사과 (Malus domestica)를 재배하면서 일어난 유전체의 변화를 밝혀 |
.jpg) 논문보기 |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약물(denosumab, zoledronate and calcium) 복용이 코로나-19 감염을 30~40% 줄여 Influence of anti-osteoporosis treatments on the incidence of COVID-19 in patients with non-inflammatory rheumatic conditions |
 논문보기 | 사람 심장 형성(uman Heart Organogenesis)에 관여하는 핵심 유전자들과 조절 밝혀 Epigenomic and Transcriptomic Dynamics During Human Heart Organogenesis |
 논문보기 | 팜유에 들어있는 비타민 E가 면역 반응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을 마우스 간세포 실험에서 밝혀 Tocotrienols Activate Nrf2 Nuclear Translocation and Increase the Antioxidant- Related Hepatoprotective Mechanism in Mice Liver |
 논문보기 | 모기(Anopheles stephensi)를 통한 말라리아 전파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찾아 Efficient population modification gene-drive rescue system in the malaria mosquito Anopheles stephensi |
 논문보기 | 코로나-19 감염후 빨리 회복한 사람은 장기간 항체 생산이 유지돼 Quick COVID-19 Healers Sustain Anti-SARS-CoV-2 Antibody Production
|
 논문보기 | 자성과 형광을 가진 물질(lanthanide-siloxane-based compounds) 개발 New Luminescent Tetranuclear Lanthanide‐Based Silsesquioxane Cage‐Like Architectures |
 논문보기 | 물고기들이 떼로 움직이면 어떻게 에너지를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지를 밝혀 Vortex phase matching as a strategy for schooling in robots and in fish |
 논문보기 | 지속적으로 바이오에너지, 수소를를 생산할 수 있는 단백질 나노반응기 만들어 Reprogramming bacterial protein organelles as a nanoreactor for hydrogen production |
 논문보기 | 스타틴 처방을 받은 사람은 코로나-19에 의한 사망률이 22%~25% 줄어 EFFECT OF STATIN THERAPY ON SARS-CoV-2 INFECTION-RELATED MORTALITY IN HOSPITALIZED PATIENTS |
 논문보기 | RNA 중합 효소 II (RNAPII)의 C- 말단 도메인 (CTD)을 인산화하여 전사를 조절하는 CDK7 kinase의 새로운 기질을 규명 Selective inhibition of CDK7 reveals high-confidence targets and new models for TFIIH function in transcription |
 논문보기 | 출산 방법에 따라 산모와 아기의 호르몬 변화와 이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Birth signalling hormones and the developmental consequences of caesarean delivery |
 논문보기 | 산(acid)에 잘 견디는 효모(Issatchenkia orientalis)로 대사체 모델( genome-scale metabolic model) 만들어 산업적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Genome-scale metabolic reconstruction of the non-model yeast Issatchenkia orientalis SD108 and its application to organic acids production |
 논문보기 | 감염성 질환의 전파에 관한 새로운 모델 제시...사회적 거리두기가 중요하구만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and isolation on epidemic spreading modeled via dynamical density functional theory |
 논문보기 | 고지방 식단으로 발생한 지방간을 완화시키는프리바이오틱 Xylo-Oligosaccharides Prebiotic Xylo-Oligosaccharides Ameliorate High-Fat-Diet-Induced Hepatic Steatosis in Rats |
 논문보기 | 자식작용을 조절하는 새로운 효소, Atg9 (scramblase) 규명 Atg9 is a lipid scramblase that mediates autophagosomal membrane expansion |
 논문보기 | 두뇌 훈련을 통해 알코울 중독 재발을 막는데 도움이 되는 Cognitive bias modification (CBM)..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앱, SWiPE 개발 Effect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on Early Relapse Among Adults Undergoing Inpatient Alcohol Withdrawal Treatment |
 논문보기 | 작은 코로나-19 바이러스 RBD 단편을 라마에 주사해 생긴 항체중에 나노바디(nanobodies)로 명명된 강력한 항체 찾고 분석한 결과 Versatile and multivalent nanobodies efficiently neutralize SARS-CoV-2 |
 논문보기 | 인슐린을 코딩하는 유전자 변이 분석을 통해 진화과정에서 사람이 당뇨병이 취약한 이유 밝혀 Evolution of insulin at the edge of foldability and its medical implications |
 논문보기 | 중화항체처럼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잡는 사람 ACE2 가짜 미끼 (hACE2 decoys)로 활용하기위해 디자인한 CTC-445.2 개발 De novo design of potent and resilient hACE2 decoys to neutralize SARS-CoV-2 |
 논문보기 | 코로나-19 팬더믹에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만들어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veals Vulnerable Mental Health Support Groups and Heightened Health Anxiety on Reddit During COVID-19: Observational Study |
 논문보기 | 애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에 대해 어른과 다른 항체들을 만들어 Distinct antibody responses to SARS-CoV-2 in children and adults across the COVID-19 clinical spectrum |
 논문보기 | 항염증 치료제, infliximab가 염증성장질환 치료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수용체 단백질, ACE2를 줄여 Altered intestinal ACE2 levels a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severe disease and response to anti-cytokine therapy in IBD |
 논문보기 | 온난화로 대기중에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도 식물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것으로 Retrospective analysis of biochemical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in 49 species: C4 crops appear still adapted to pre‐industrial atmospheric [CO2] |
 논문보기 | 세균 세포내에 있는 특이한 구조체 리트론(Retrons)이 파아지에 대한 방어시스템으로 활용 Bacterial Retrons Function In Anti-Phage Defense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내에서 세포 단백질 합성을 어떻게 막는 지를 밝혀 Nonstructural protein 1 of SARS-CoV-2 is a potent pathogenicity factor redirecting host protein synthesis machinery toward viral RNA. |
 논문보기 | 통증, 두려움등에 반응해서 고삐핵으로 알려진 하베눌라(habenula)에서 과발현되는 유전자, Prkar2a를 통해 비만을 막을 수 있는 단서 찾아 Loss of habenular Prkar2a reduces hedonic eating and increases exercise motivation |
 논문보기 | 임신중 식단과 생활방식이 메틸레이션과 같은 아기의 DNA변화에 영향을 미쳐 Maternal dysglycaemia, changes in the infant’s epigenome modified with a diet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pregnancy |
 논문보기 | 선천 면역 세포중에 하나인 호중구(neutrophil granulocytes)를 이용해 항암 활성 높이기 Innate Immune Training of Granulopoiesis Promotes Anti-tumor Activity |
 논문보기 | 다양한 라틴계 6 그룹을 대상으로 APOE-ε4와 인지기능 감소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그룹에 따라 다른데 아마도 조상의 차이에 의해서 그런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APOE alleles’ associ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differs across Hispanic/Latino groups and genetic ancestry in the study of Latinos‐investigation of neurocognitive aging (HCHS/SOL) |
 논문보기 | 위기의 바나나를 극복하기위해 야생 바나나 스크리닝을 통해 유전 형질과 특성을 연구한 결과 Challenges for Ex Situ Conservation of Wild Bananas: Seeds Collected in Papua New Guinea Have Variable Levels of Desiccation Tolerance |
 논문보기 | 파킨슨 질병처럼 반복서열이 원인이 된 질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저분자 물질(비정상적인 반복서열에 결합) 찾아 A Small Molecule that Binds an RNA Repeat Expansion Stimulates Its Decay via the Exosome Complex |
 논문보기 | 마우스 실험에서 murine interleukin-15 (mIL-15)를 같이 발현시켜 CAR-T 치료 효과를 높여 Optimized gene engineering of murine CAR-T cells reveals the beneficial effects of IL-15 coexpression |
 논문보기 | 아마죤 원주민이 마시는 차에 들어가 있는 dimethyltryptamine (DMT) 성분이 새로운 뉴우런 형성을 자극해 N,N-dimethyltryptamine compound found in the hallucinogenic tea ayahuasca, regulates adult neurogenesis in vitro and in vivo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 미접촉 소규모 그룹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항체 발견 Preexisting and de novo humoral immunity to SARS-CoV-2 in humans |
 논문보기 | 환경 메타지놈 분석에 유용한 분석 리소스, phyloFlash 개발 phyloFlash: Rapid Small-Subunit rRNA Profiling and Targeted Assembly from Metagenomes |
 논문보기 | 사람이나 마우스의 면역 항상성을 유지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RELD1 CRELD1 modulates homeostasis of the immune system in mice and humans |
 논문보기 | 견과류가 정자 지놈의 에피제네틱한 변화를 유발......서구 식습관(Western‐style diet)을 가진 남성에게 14주간 견과류를 섭취하게 한 후 정자 지놈을 분석한 결과 과도한 메텔레이션이 일어난 사실 밝혀 Sperm DNA methylation changes after short‐term nut supplementation in healthy men consuming a Western‐style diet |
 논문보기 | 코로나-19 대응에서 마스크 착용이나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비약물적 조치(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의 효과 그리고 이 조치가 다른 질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VID-19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on the future dynamics of endemic infections |
 논문보기 | 미국 개에서 새로운 병원균, Rickettsia rickettsii 밝혀 Novel Rickettsia Species Infecting Dogs, United States |
 논문보기 | 기존 약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치료제를 찾고 있는데 (drug repositioning) 호르몬 멜라토닌이 효과가 있을 수도 A network medicine approach to investigation and population-based validation of disease manifestations and drug repurposing for COVID-19 |
 논문보기 | 당뇨 환자에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덱사메타손이 효과가 떨어질 수도..... 혈중 알부민과 복합체 구조 밝혀 Molecular determinants of vascular transport of dexamethasone in COVID-19 therapy |
 논문보기 | 성에 따라 염증 및 면역반응의 차이를 전신성 염증반응증후군을 가진 랫(Wistar rats) 새끼 실험으로 확인 Sex differences of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 in pups of Wistar rats with SIRS |
 논문보기 | 뇌졸중에서 회복되고 있는 환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단백질, neurofilament light (NFL) 밝혀 Plasma neurofilament light predicts mortality in patients with stroke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를 분석한 결과 사이토신(C)이 우라실(U)로 점 돌연변이가 많이 일어날수록 기주의 선천면역 반응을 자극해 tumour necrosis factor-alpha 그리고 interleukin-6 생산이 많아져 Point mutation bias in SARS-CoV-2 variants results in increased ability to stimulate inflammatory responses |
 논문보기 | 라임병이 원인이되는 병원체(tick-borne spirochete) 감염을 억제하는 단백질,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1 (PGLYRP1) A human secretome library screen reveals a role for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1 in Lyme borreliosis |
 논문보기 | 코비-19 흉부 사진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이나 관리에 활용 A Survey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Chest Imaging of COVID-19 |
 논문보기 | 갑자기 냄새나 맛을 잘 느끼지 못한다면 코비드-19를 의심해봐야 Smell and taste changes are early indicator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olitical decision effectiveness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 지놈에서 새로운 유전자, ORF3d를 찾아내 Dynamically evolving novel overlapping gene as a factor in the SARS-CoV-2 pandemic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분석을 통해 약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타겟 발굴 Genome-wide mapping of SARS-CoV-2 RNA structures identifies therapeutically-relevant elements |
 논문보기 | 최근 10년간 FDA에 의한 백신 승인의 특성(Speed, Evidence, and Safety)을 분석한 결과 Speed, Evidence, and Safety Characteristics of Vaccine Approvals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논문보기 | 코로나-19 RT-PCR 진단에서 나오는 위양성을 줄일수 있는 기술 개발 Microfluidic Nano-Scale qPCR Enables Ultra-Sensitive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SARS-CoV-2 |
 논문보기 | 생체시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BMAL1가 베타 세포의 재생에 관여해 A role for alternative splicing in circadian control of exocytosis and glucose homeostasis |
 논문보기 | 코로나-19 바이러스 돌연변이 균주, D614G는 전파력은 증가했지만 중화항체에 대해서는 더 민감하게 반응해 SARS-CoV-2 D614G variant exhibits efficient replication ex vivo and transmission in vivo |
 논문보기 | 코로나-19 치료제로 플루복사민, Fluvoxamine Fluvoxamine vs Placebo and Clinical Deterioration in Outpatients With Symptomatic COVID-19 |
 논문보기 | Multi-Tissue Acceleration of the Mitochondrial Phosphoenolpyruvate Cycle Improves Whole-Body Metabolic Health 마이토콘드리아 Phosphoenolpyruvate Cycle에 의한 인슐린 분비조절 밝혀 |
 논문보기 | 신생아 청각 테스트로 자폐 진단 가능 할 수도 Prolong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in Universal Hearing Screening of Newbor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논문보기 | DORGE라고 명명된 예측 알고리즘으로 찾아낸 암 촉진 유전자들(cancer driver genes) DORGE: Discovery of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using Genetic and Epigenetic features |
 논문보기 | 골관절염 치료 타겟으로 부상하는 histone deacetalyse 6 (HDAC6) Inhibition of Histone Deacetylase 6 by Tubastatin A Attenuates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via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
 논문보기 | 성상세포(Astrocytes)들이 NrCAM라는 물질을 사용해 뉴우런에 달라붙어 신호 조절에 관여 Chemico-genetic discovery of astrocytic control of inhibition in vivo |